Майка

youtube.com/@maikabg

지식창고,뉴스/마이크로바이옴 97

진화하는 유산균 지금은 4세대 유산균 ‘포스트바이오틱스’ 시대

김수정 객원기자 입력 2021.10.27 03:00 우리가 살아가면서 절대 잃지 말아야 할 최고의 자산은 그 어떤 금융자산도 아닌 ‘건강자산’이다. 그래서 요즘 사람들은 자신의 몸을 위해 식습관 개선, 맞춤형 운동, 주기적인 건강검진 등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다. 각종 건강기능식품도 다양하게 섭취하는데, 그중 하나가 ‘유산균’이다. 많은 사람이 김치·치즈·요구르트 등 유산균이 풍부한 음식을 즐겨 찾는 것도 그래서다. 유산균과 동의어로 쓰이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이미 현대인의 필수 건강기능식품이 됐다. 우리가 ‘건강한 삶을 위해’ 섭취하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For Life’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장(腸) 속에서 경쟁을 통해 유해균 활동을 막고 우리 몸의 면역력..

페링,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리얼월드 결과 전향적 연구과 일관된 효능·안전성 보여

기사입력시간 21.10.27 07:24 RBX2660, 기존 임상시험보다 광범위한 환자 집단 대상으로 비슷한 효능 및 안전성 입증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 감염(CDI)을 줄이기 위한 퍼스트인클래스(first-in-class)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LBP)로 개발되고 있는 RBX2660의 후향적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RBX2660는 전향적 및 후향적 분석과 다양한 환자 집단 전반에 걸쳐 일관된 효능과 안전성을 보였다. 페링제약(Ferring Pharmaceuticals) 자회사인 리바이오틱스(Rebiotix)가 미국소화기학회(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연례학술대회에서 광범위한 CDI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분석 결과..

나주시·동신대 '105조원대'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연다

5년 간 115억원 투입…웰에이징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By 나주=조대봉 기자 dbjo@jnilbo.com , 나주=박송엽 기자 sypark22@jnilbo.com 게재 2021-08-29 15:56:42 나주시와 동신대학교는 105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마이크로바이옴 웰에이징' 시장 선점을 위해 사업단을 발족하고 관련 기술과 고부가가치제품 개발에 나섰다고 29일 밝혔다. 웰이징(Wellaging)은 건강하고 자연스럽게 아름다움을 유지하며 잘 늙어가는 것을 뜻하며,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을 접목할 경우 다양한 기능성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몸 안에 사는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의 합성어다. 나주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1년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프로젝트 사업으로..

한국콜마홀딩스,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본격화

미국 아란타바이오와 장질환 치료제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계약 체결 신대욱 기자 woogi@cmn.co.kr[기사입력 : 2021-08-26 오후 4:27:41] [CMN] 한국콜마홀딩스 바이옴연구소가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을 본격화한다. 전 세계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시장이 블루오션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선제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이 분야의 리딩기업으로 입지를 확고히 하겠다는 전략이다. 한국콜마홀딩스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 후보 물질인 ‘KBL382’ 균주의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을 위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전문 기업인 미국의 아란타바이오(Arranta Bio)와 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아란타바이오는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둔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전문 CDMO 업체..

국가식품클러스터 내 차세대 유망식품기업 2곳 합류한다

이재현 기자 승인 2021.08.17 16:49 냉동식품 생산업체 ‘천일식품’·차세대 유산균 선도기업 ‘K스마트코리아’ 입주 47년 역사를 자랑하는 냉동식품 생산업체 천일식품과 차세대 유산균 선도기업 K스마트코리아가 국가식품클러스터에 합류한다.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사장 김영재)은 17일 천일식품, K스마트코리아와 국가식품클러스터 투자 MOU 체결 및 입주를 위한 분양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천일식품은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5G기반의 스마트HMR 공장을 구축해 원가절감과 생산 속도를 높이고 소스 생산을 병행하는 트윈팩토리 시스템을 갖춘 가운데 국가식품클러스터의 R&D 지원시설과 연계, 현재 급성장세에 있는 HMR시장 재편에 나설 계획이다. K스마트코리아는 한국의과학연구원이 연구개발한 유원풀러스와 ..

CJ제일제당, '마이크로바이옴' 전문 기업 '천랩' 인수

이종화 / 기사승인 : 2021-07-21 17:55:36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차세대 신약 기술 개발에 주력 향후 식품, 건강사업과 시너지도 기대 CJ제일제당이 생명과학정보 기업 '천랩'를 인수하고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차세대 신약 기술 개발에 나선다.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를 합친 용어로, 사람의 몸 속에 존재하는 수십 조 개의 미생물과 그 유전자를 일컫는다. CJ제일제당은 21일 천랩을 약 983억 원에 인수하고, 천랩의 기존 주식과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신주를 합쳐 44%의 지분을 확보하게 된다. 천랩은 같은 날 이사회를 거쳐 이 같은 내용을 의결, 공시했다. 천랩 인수로 CJ제일제당은 그린-화이트바이오에 이어 레드바이오로 사업영역..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관련 기술개요 및 시사점

저자소속발간일 윤성진, 신아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질환연구센터,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2021-06-28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관련 기술개요 및 시사점 가. 개요 인류 공동의 행복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유엔(UN)에서는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하는 17가지 목표와 169개의 세부 목표들을 설정하였으며1),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지속 가능 발전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인구증가와 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 자원의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식물의 생산량 증진 및 멸종 위기 보호종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인류의 식량 자원 확보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2050년까지 농작물의 수요가 적어도 60% 이상 증가될 것이라는 예상과 식물 자원으로부터 생산..

제약업계, 미생물·한약소재 활용한 ‘면역항암제’ 개발 본격화

한의학연, 천연물질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 박차…성공사례는 전무 지놈앤컴퍼니, 화이자-머크와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제 개발중 전한울 기자 승인 2021.06.28 15:35 [이뉴스투데이 전한울 기자] 국내 제약업계가 면역항암제 개발에 차세대 신약 후보물질 ‘마이크로바이옴’과 한약 소재 ‘천연물질’을 적극 활용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로또’에 비유되는 혁신 신약개발은 국내외 제약사에게 최대 난제이다. 최근 국내 제약업계는 기존 화학물보다 부작용이 적고 시장성은 높다고 평가받는 차세대 신약 후보물질을 적극 발굴·활용하면서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업계는 특히 3세대 항암제로 꼽히는 ‘면역항암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면역항암제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면역기능을 ..

미생물 빅데이터 기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기술

저자소속발간일 안치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세포공장연구센터 2021-06-28 1. 개요 가.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2019년 12월, 환경부는 전국 2,031개 하천의 3,039개 지점을 대상으로 2016~ 2018년 3년 주기로 조사한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를 공개했다1). 수생생물 분야에서는 부착돌말,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하 저서동물), 어류 등 3개 항목에 대해 조사하여, ‘매우 좋음(A)’부터 ‘매우 나쁨(E)’까지 5개 등급으로 평가한다. 부착돌말은 1차 생산자로서 부영양화 평가지표로 효율적이고, 저서동물은 1차 또는 2차 소비자로서 유기물 오염의 평가지표로 활용되며, 어류는 최종소비자로서 장기적 환경영향 및 광범위한 서식지 상태를 반영한다. 대체적으로 오염물질 유입이 적고 고도가 높..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관련 기술개요 및 시사점

저자,소속,발간일 윤성진, 신아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경질환연구센터,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2021-06-28 가. 개요 인류 공동의 행복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유엔(UN)에서는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하는 17가지 목표와 169개의 세부 목표들을 설정하였으며1),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지속 가능 발전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인구증가와 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 자원의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식물의 생산량 증진 및 멸종 위기 보호종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인류의 식량 자원 확보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2050년까지 농작물의 수요가 적어도 60% 이상 증가될 것이라는 예상과 식물 자원으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연료(Biofuel), 섬유(Fi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