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창고,뉴스/스마트팜.농업230 디지털 시대, 디지털 뉴딜과 농업… 향후 기대효과·정책과제 승인 2021.02.01 10:46 '농업전망 2021’서 바라본 ‘디지털시대 농업’ ‘코로나19’로 디지털 역량 중요성 ‘재확인’ 디지털 농업·데이터 등 관련 정책 중요성 확대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핵심요소로 4차 산업혁명 시대 데이터가 모든 산업의 발전과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의 촉매 역할을 하는 데이터 경제(Data Economy)로 전환 중이다. IoT·센서 등을 통해 생성되는 대량의 데이터가 자본, 노동, 토지와 같은 기존 생산요소을 능가해 경제·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중요한 생산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디지털농업은 기존의 정밀농업이나 스마트농업보다 생산, 유통, 소비 등 농업활동의 전과정에서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며, 활용방식도 수집된 데이터를 인간이 분석·.. 2021. 2. 1. 카자흐스탄에 ‘한국형 스마트팜’ 수출 시작 김수용 기자 승인 2021.01.15 10:37 실용화재단, 스마트팜 수출 확대 노력 [농축유통신문 김수용 기자] 우리 기술로 만든 한국형 스마트팜 및 시설재배 설비가 카자흐스탄으로 수출된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지난 7일 카자흐스탄에 설치할 한국 스마트팜 및 시설재배 설비를 중앙아시아 지역에 수출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2018년 5월부터 시작된 ‘스마트팜 시스템·양액시설·온실설비·한국산 품종’을 패키지로 묶어 카자흐스탄 현지에 성능을 검증하는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의 결과이다. 본 수출은 2019년 4월에 테스베드사업에 참여한 한국 기업체와 우즈베키스탄 기업체가 체결했던 수출계약이 실행된 것이다. 그동안 현지 기업체의 자금사정,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지연되다가 구랍 30일 우즈베키스탄 기업.. 2021. 1. 15. 베트남서도 뿌리내리는 소형 스마트팜 김종현 기자 (kimjh@idomin.com) 2021년 01월 15일 금요일 간편한 식물공장 600동 보급…지난해 매출 200억 원 돌파 잎도 먹는 새싹삼 주로 재배…일부 수매해 원료 형태 유통 "누구나 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팜을 현실화하는 게 목표입니다." 미래농업을 향한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는 박향진(52) 드림팜 대표는 누구나 농사지을 수 있는 스마트팜을 강조했다. 드림팜은 국내 33㎡ 이하 소형 스마트팜 분야에서 1위를 달리는 전문 기업이다. 스마트팜을 개발·보급해 스마트팜 기반의 농산물 생산 플랫폼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농작물을 생산·가공·유통·판매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농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과 베트남, 중동 등 국외에서도 스마트팜 큐브에 대한 문의가 많아지고 있.. 2021. 1. 15.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