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you were to survey 100 business and professional people, you might get 100 different explanations about why they work and what they are intending to achieve through their work. 만약 100 명의 사업과 전문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해본다면, 그들이 왜 일을 하고 그리고 일을 통하여 그들이 무엇을 성취하려고 하는가에 대하여 100 가지의 서로 다른 설명을 듣게 될 것이다.
“Earning a living” would probably be the most common response. We work to earn the finances necessary to buy food, housing and clothing; to support our chosen lifestyle; to acquire things that we need and want; and even to help in funding causes we believe in. But there are many other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are you working for?” “생계비를 버는 것”이 아마 가장 일반적인 대답일 것이다. 우리는 음식, 집 그리고 의복을 사는데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하여; 우리가 선택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하여; 우리가 필요로 하고 원하는 것들을 얻기 위하여: 그리고 우리가 믿는 좋은 취지의 일을 위한 자금조달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일을 한다. 그러나 “당신은 무엇을 위하여 일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다른 여러 가지 대답이 있다.
For some work provides a sense of mission and meaning, even significance. Others strive to receive personal recognition for their skills and talents. Work serves some for determining their self-worth for achieving success, however they define that. Some simply view work as a way to spend waking hours. 일은 사명의식과 의미, 심지어 중요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다른 사람들은 자신의 기술과 재능에 대하여 개인적인 인정을 받으려고 노력한다. 일은 어떤 사람들에게 성공을 이루기 위한 자신의 자아가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들이 그것을 어떻게 정의하든 그러하다. 어떤 사람들은 일을 단순히 깨어 있는 시간을 보내기 위한 방편으로 본다.
Those with more selfless, philanthropic inclinations might view their work as a way to serve others, offering needed assistance and encouragement to individuals or groups of people with specific needs. 좀 더 이타적이고, 박애주의 성향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일을 다른 사람들을 섬기기 위한 방편으로 보고, 특정한 필요사항이 있는 사람들이나 단체에 필요한 도움과 격려를 해준다.
For most of us, the work we do can function as a measuring tool, for gauging how we fit in society and what contributions we can make in the world around us. Motivations can vary markedly from person to person, and some motives may be more self-centered than others. Ultimately, to find fulfillment in our work, we should have a clear answer to the question: “What are you working for?” 우리들 대부분에게, 우리가 하는 일은 측정기구와 같은 기능을 하는데, 우리가 얼마나 사회에 적합한지 그리고 우리 주변의 세상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측정해 준다. 동기유발은 각 사람에 따라서 현저하게 다를 수 있고, 그리고 어떤 동기는 다른 것들보다 더 자아중심적일 수도 있다. 궁극적으로 우리의 일을 성취하기 위하여, “당신은 무엇을 위하여 일하고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우리는 명확한 해답을 가져야 한다.
The Bible offers some interesting perspectives on that question, in some ways challenging prevailing notions about the purpose of work and why we do what we do: 성경은 그 질문에 대하여 몇 가지 흥미로운 견해를 제시하는데, 그것은 어떤 면에서 일의 목적과 우리가 하는 일을 왜 하는가에 대하여 도전을 주는 보편적인 개념이다:
Work for what cannot be taken away. one of the problems with setting professional goals, such as earning promotions and receiving more compensation, is those give brief satisfaction but as newness wears off, we take on the attitude, “What’s next?” or “Now what?” Speaking to His followers, Jesus told them to strive for goals that cannot fade or be removed.“Do not store up for yourselves treasures on earth, where moth and rust destroy, and where thieves break in and steal. But store up for yourselves treasures in heaven, where moth and rust do not destroy, and where thieves do not break in and steal” (Matthew 6:19-20). 빼앗길 수 없는 것을 위하여 일하라. 진급을 하고 더 많은 보수를 받는 것과 같은 직업상의 목표를 세우는 일의 문제들 중에 하나는, 그러한 것들은 잠시 만족감을 주지만 새로운 기분이 시들해지면, “다음에는 무슨 일이 있을까?” 또는 “이번에는 또 무슨 일이지?”라고 하면서 눈을 돌리는 태도를 취한다. 예수님은 자신을 따르는 자들에게 말씀하실 때, 사라지거나 제거될 수 없는 목표에 이르기 위하여 노력하라고 말씀하셨다.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땅에 쌓아 두지 말라 거기는 좀과 동록이 해하며 도둑이 구멍을 뚫고 도둑질하느니라 오직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하늘에 쌓아 두라 거기는 좀이나 동록이 해하지 못하며 도둑이 구멍을 뚫지도 못하고 도둑질도 못하느니라” (마태복음 6:19-20).
Work for things that will last. Next week many of us will observe Thanksgiving Day, a festive day of celebration when many of us will eat much food more than we need. We all need nourishment, but Jesus said there is much better “food” we should strive for:“Do not labor for the food which perishes, but for the food which endures to everlasting life…. I am the bread of life. He who comes to Me shall never hunger, and he who believes in Me shall never thirst” (John 6:27,35). 지속되는 것들을 위하여 일하라. 다음 주에 우리 대다수는 추수감사절을 지내게 되는데, 그 축제의 날에 우리 많은 사람들은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음식을 먹을 것이다. 우리는 모두 영양섭취를 해야 하지만, 그러나 예수께서는 우리가 얻으려고 노력해야 할 더 좋은 “음식”이 있다고 말씀하셨다: “썩을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을 위하여 하라… 나는 생명의 떡이니 내게 오는 자는 결코 주리지 아니할 터이오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라” (요한복음 6:27,35).
Work for eternal rewards. We all have discovered that human recognition and honors are temporary. one day we can be the “star” of the company; the next day someone has assumed that role. For that reason, it is best to remember the one that ultimately offers rewards no one can take away. “Whatever you do, work at it with all your heart, as working for the Lord, not for men, since you will receive an inheritance from the Lord as a reward” (Colossians 3:23-24). 영원한 상을 위하여 일하라. 우리 모두는 사람의 인정과 칭찬은 일시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어느 날 우리는 회사의 “스타”가 될 수도 있으나; 다음 날 누군가 그 자리를 차지한다. 그 때문에, 궁극적으로 아무도 빼앗아 갈 수 없는 상을 주시는 분을 기억하는 것이 최선이다.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아나니” (골로새서 3:23-24).
Robert J. Tamasy is vice president of communications for Leaders Legacy, Inc., a non-profit organization based in Atlanta, Georgia, U.S.A. A veteran journalist, he has written Tufting Legacies (iUniverse); Business At Its Best: Timeless Wisdom from Proverbs for Today’s Workplace (River City Press);and has coauthored with David A. Stoddard, The Heart of Mentoring (NavPress). For more information, see www.leaderslegacy.com or his blogs, www.bobtamasy.blogspot.comand www.bobtamasy.wordpress.com.
CBMC INTERNATIONAL: Jim Firnstahl, President 1065 N. 115th Street, Suite 210 Omaha, Nebraska 68154 U.S.A. TEL.: (402) 431-0002 FAX: (402) 431-1749 E-MAIL: info@cbmcint.org Please direct any requests or change of address to: www.cbmcint.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