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뉴스/월드 뉴스

캐나다 달러, 美 달러가치 앞질러

by KBEP 2007. 10. 27.

캐나다 달러, 美 달러가치 앞질러

- 캐나다貨, 美 달러 대비 동등가치를 이루며 31년 만에 최고치 -

- 당분간 원자재 상승·미달러 약세로 강세 지속할 듯 -

 

 

□ 캐나다 달러 가치 상승세 지속

 

 ○ 캐나다 달러는 2007년 9월 20일 현재 미 달러 대비 동등가치를 실현하며 1976년 11월 25일 미 달러와 동등가치를 기록한 이후 31년 만에 최고치 기록

  - 오전 한 때 미 달러 대비 10004달러까지 상승하며 미 달러 가치를 추월하기도 함.

  - 캐나다 화는 2007년 현재까지 15.0%의 절상률을 기록하며 강세 행진 지속

  - 캐나다 화는 2002년 초 미 달러 대비 63센트를 기록하며 저점을 형성한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상승

 

최근 3개월 간 미 달러 대비 캐나다 화 상승 추이

                         자료원 : 캐나다 중앙은행

 

 ○ 캐나다 화 가치 상승 배경

  - 최근 미국 FRB의 0.5% 기준금리 인하

  - 원유, 천연가스 및 1차 금속 등의 원자재가 상승세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국제원유가가 배럴당 80달러를 넘으며 강세 지속

  - 미국의 경기둔화로 인한 글로벌 미 달러 약세 기조가 FRB의 금리인하와 함께 더욱 공고해진 상황

  - 시장 전문가들은 현재의 환율시장 및 경제 여건이 캐나다화 가치 상승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고 있는 바, 당분간 미화 대비 캐나다화의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환율 시나리오

 

 ○ 지속적인 캐나다화 상승세

  - 원자재가의 상승 지속으로 캐나다의 주요 수출품인 원자재에 대한 수요 및 가격상승 지속은 캐나다화 강세에 대한 기초환경 제공

  - 최근 신용경색 여파 및 경기 둔화에 따른 미국 FRB의 0.5% 금리인하는 마 달러의 글로벌 약세를 지속시킬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캐나다화 및 유로화의 등의 안전 외화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회귀로 캐나다화 수요 증가 및 환율 상승 유도 전망

  - 또한 미국 기준금리 인하로 미국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및 경기부양 가능성이 예상되며 캐나다의 대미 수출, 특히 원자재 수출이 지속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제조업 분야의 수출 약세에도 불구, 전반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즉, 원자재가 강세, 금리인하에 따른 미국경기회복 및 캐나다 원자재 수출 강세로 캐나다 경제 성장세가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며 캐나다화 강세를 뒷받침할 것으로 분석

 

캐나다화 강세 시나리오

국제 원자재가 상승세 지속, 미국 FRB 금리인하에 따른 미달러 약세

금리인하에 따른 미국 경기회복세 기대감

캐나다의 주력 수출품인 원자재 수요 지속 예상

캐나다 경기 상승세 지속 유지 및 환율 강세 지속 전망

 

 ○ 캐나다화 하락세로 반전

  - 첫번째 시나리오와는 반대로 향후 캐나다화의 강세가 꺾이며 하락세의 반전 시나리오 역시 시장에서 대두

  - 일단 환율시장 자체 여건상 그 동안 주요 캐나다 산업분야의 기업들이 캐나다화 환율 증가에 따른 손실보전을 위해 환율 헤징 통해 환율상승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고 있었으나, 일단 그 계약이 종료 후, 최근 환율 급등에 의한 업체들의 대비책 부족으로 환율시장이 급락할 가능성이 존재

  - 또한 유로화 역시 급등하는 추세로 투자가들이 캐나다화 대비 유로화로 투자처를 선회할 경우 캐나다화의 상승 모멘텀이 반감될 가능성도 존재

  - 그리고 경제 여건으로는 미국시장의 회복 가능성으로 최근 FRB의 금리인하가 미 경기회복에 대한 전망을 부추기고 있으나 만약 FRB가 올해 안에 금리인하 결정을 또 다시 시도할 경우, 이는 근본적인 미국 경기의 침체를 인정하는 계기로 작용, 이는 캐나다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반경기의 하락세로의 반전 예상 및 그에 따른 캐나다화의 동반 약세가 전망

 

□ 시사점

 

 ○ 현재 캐나다 경제 분석 전문가들은 상기의 두가지 환율 시나리오 중 지속적인 캐나다화의 상승세에 더욱 무게를 두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캐나다 달러가 미 달러대비 1.05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

  - 단기적으로 원자재가 상승 및 미달러 약세기조 지속, 그리고 캐나다 화에 대한 투자자금 유입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캐나다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해 금리인하가 여의치 않는 등 캐나다화 상승 여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 현재 캐나다 화의 지속적인 절상은 캐나다 내 제조업체들의 경우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는 반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설비투자 측면 및 구매력 증가를 바탕으로 한 도매업체들의 수입 및 중간재와 부품 해외 아웃소싱은 지속 확대될 전망

  - 또한 캐나다 화 가치 상승에 의한 캐나다 소비자의 구매력 확대로 소비재를 중심으로 한 수입 역시 지속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그러나 소비증가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미국 금리인하에도 불구 불확실한 미국경기 전망, 최 근 신용경색으로 인한 금융시장 여파 등의 혼재로 단기적으로 캐나다 환율 전망에 다소 변동성이큰 것이 현 상황으로 한국의 수출기업들의 경우 미국 및 캐나다 경제 동향 및 환율 추이에 대한 예의주시가 필요함.

 

 

 자료원 : 캐나다 중앙은행, 주요 시중은행 분석자료 및 현지 언론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