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INITIATIVE AND HARD WORK
주도적으로 열심히 하는 일이 주는 영향력
By Jim Mathis
If as they say, “variety is the spice of life,” you might describe my life as fairly “spicy.” one recent weekend was a good example: Saturday afternoon I photographed members of a law firm. From there I went to the local convention center to photograph exhibits I had helped to design. Upon arriving home, I packed my instruments and equipment and left to play with my band, Sky Blue, at a popular coffee shop.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다채로운 경험이 인생을 즐겁게 한다”면, 나의 인생은 매우 “다채롭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보낸 주말이 하나의 좋은 예가 되는데: 토요일 오후에 나는 어떤 법률사무소 사람들의 사진을 찍었다. 그곳에서 지역 컨벤션센터로 가서 내가 디자인을 하도록 도왔던 전시품을 촬영하였다. 집에 도착하자마자 나는 악기와 장비를 싸 들고 어느 유명한 커피숍에 가서 우리 음악밴드, 스카이 블루와 함께 연주를 하였다.
The next morning, my church was celebrating its 50th year anniversary. I sang in the choir and took photos. Then I went to a musical “jam session” presented by the Heartland Steel Guitar Association, of which I am a founding member and officer. That evening my wife and I went to a concert at the Kauffman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where we work as volunteers.
다음 날 아침 우리 교회는 50주년 창립기념일을 경축하였다. 나는 성가대에서 노래를 불렀고 사진도 찍었다. 그 다음에 나는 하트런드 스틸 기타 협회가 공연하는 음악 “잼 세션”(즉흥연주)을 보러 갔는데, 나는 그 협회의 창립 멤버이며 임원이다. 그날 저녁 내 아내와 함께 카우프만 공연예술회관 연주회에 갔었는데, 우리는 거기서 자원봉사자로 일하고 있다.
Not long ago a friend asked my advice in finding a better job. Frankly, I did not think I could help him much because I have never looked for a job and would not know how to go about finding one. This is because I have always done what I wanted to do, operating on the principle that if you are good enough at anything, somebody will pay you to do it. If not, you can do it just because you enjoy it.
얼마 전에 한 친구가 더 좋은 직업을 찾는 일에 대하여 나에게 자문을 구하였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그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한 이유는 내가 직업을 구해본 적이 없어서 직업을 어떻게 찾으러 다니는지를 몰랐기 때문이다. 내는 항상 내가 원하는 일을 해왔고, 또 우리가 무언가를 능숙하게 잘하면 누군가 그것을 하도록 우리에게 돈을 지불할 것이라는 원칙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즐기기 때문에 그 일을 한다.
Currently I earn a living doing photography. As I see it, if I am not making enough money, it is either because my pictures are not good enough or I am not showing them to enough people. That is why I spend much of my time learning to be a better photographer and showing people some my photos.
요즘 나는 사진과 관련한 일을 하면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내가 알게 된 것은, 만약 내가 돈을 넉넉히 벌지 못하고 있다면, 내 사진이 좋지 않기 때문이거나 혹은 내가 그것을 여러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이 내가 더 좋은 사진작가가 되기 위하여 배우고 그리고 내 사진을 사람들에게 보이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이유이다.
I also earn money playing music and selling books I have written. In both cases, to do better vocationally, I have to be better. I have to learn to play better, write better songs, and learn to become a better writer.
나는 또한 음악을 연주하고 내가 쓴 책을 팔아서 돈을 번다. 양쪽 경우 모두, 직업적으로 더 잘 하기 위하여 나는 더 나아져야 한다. 나는 연주를 더 잘하고, 더 좋은 노래를 작곡하기 위하여 배우고, 그리고 더 좋은 작가가 되기 위하여 배워야 한다.
Luke 16:10-12 gives a basic principle for business: “Whoever can be trusted with very little can also be trusted with much, and whoever is dishonest with very little will also be dishonest with much. So if you have not been trustworthy in handling worldly wealth, who will trust you with true riches? And if you have not been trustworthy with someone else’s property, who will give you property of your own?"
누가복음 16:10-12은 사업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을 말씀하여 주신다: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된 자는 큰 것에도 충성되고 지극히 작은 것에 불의한 자는 큰 것에도 불의하니라 너희가 만일 불의한 재물에도 충성하지 아니하면 누가 참된 것으로 너희에게 맡기겠느냐 너희가 만일 남의 것에 충성하지 아니하면 누가 너희의 것을 너희에게 주겠느냐”
In other words, if you do the best with what you have, you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do more.
다른 말로 하면, 우리가 가진 것으로 최선을 다하면 더 많은 것을 할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I experienced a practical illustration of this principle years ago. I wanted a nice car, but could not afford one, so I bought what I could afford. Instead of treating it poorly, I cared for it as if it were a great car. I washed and waxed it every weekend, bought a book on auto detailing, and did all I could to enhance its appearance. one day a car dealer stopped me, stating he had seen me driving the car around town and wanted to know if he could buy it. I agreed to sell it, and with my profit, bought the kind of “nice car” I had always wanted. Treating my old car well had paid off, enabling me to get a better car.
나는 몇 해전에 이 원칙의 실례를 체험하였다. 나는 좋은 차를 갖기 원했지만, 그럴 형편이 못되어 형편에 맞는 것을 샀다. 그것을 아무렇게나 다루지 않고, 나는 마치 훌륭한 차인 것처럼 그것을 보살폈다. 매주 주말 세차를 하고 왁스 칠을 하고, 자동차 세부장식에 관한 책을 사보고, 그리고 차의 외모를 개선하기 위한 모든 일을 다하였다. 어느 날 자동차 매매업자가 나를 멈춰 세우고, 내가 시내에서 그 차를 운전하는 것을 보았다고 말하면서 그것을 살 수 있는지 알고 싶어 하였다. 나는 내차를 팔기로 합의하였고, 나에게 생긴 이익금으로 내가 항상 갖기 원했던 “좋은 차”를 샀다. 오래된 내 차를 잘 다룬 것에 대하여 보상을 받게 되었고, 더 좋은 차를 얻을 수 있게 해주었다.
This principle – being trustworthy with whatever you have, so you can prove yourself trustworthy to take on more responsibility – is true in virtually every area of life.
이 원칙 – 무엇이든 갖고 있는 것에 충성되면, 그로써 당신이 더 많은 책임을 질 만큼 충성스럽다는 것을 입증함 – 은 사실상 삶의 모든 분야에서 진실로 통한다.
So my advice to my friend that was looking for a better job was simple: If I wanted a better job, I would do a better job. That is all I know how to do.
그러므로 더 좋은 직업을 구하는 친구에게 주는 나의 충고는 간단하다: 내가 더 좋은 직업을 갖기 원하면, 나는 일을 더 잘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내가 아는 방법의 전부이다.
Jim Mathis is the owner of a photography studio in Overland Park, Kansas,
specializing in executive, commercial and theatrical portraits, and operates a
school of photography. Jim is the author of High Performance Cameras for Ordinary People, a book on digital photography. He formerly
was a coffee shop manager and executive director of CBMC in
CBMC INTERNATIONAL: Jim Firnstahl, President
TEL.: (402) 431-0002 ▪ FAX: (402) 431-1749 ▪ E-MAIL: info@cbmcint.org
Please direct any requests or change of address to: www.cbmcint.org
Reflection/Discussion Questions
1. Do you agree with Mr. Mathis’s opinion that if you are good enough at doing something, someone will pay you to do that kind of work for them? What has been your experience in that respect?
당신이 어떤 일을 능숙하게 잘하면, 누군가 돈을 주고 당신이 그와 같은 종류의 일을 하도록 한다는 마티스의 의견에 동의합니까? 그 점에 있어서 당신은 어떤 경험을 하였습니까?
2. Do you enjoy the kind of work you are doing now? Why or why not?
지금 하고 있는 종류의 일을 즐겁게 하고 있습니까? 그렇게 하거나 하지 못하는 이유는?
3. What is your reaction to the advice that to find a better job, one must first learn to do better at what they are presently doing?
더 좋은 직업을 얻으려면, 먼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더 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충고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합니까?
4. The Bible verse cited seems to indicate there is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proving oneself faithful and reliable in doing lesser tasks before being promoted, or assigned to take on greater levels of responsibility. What are your thoughts about that?
인용한 성경 구절은 더 높은 수준의 책임을 지도록 진급하거나 임무를 부여 받기 전에 더 작은 일을 하는데 충성되고 신뢰할만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일이 서로 인과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 같다. 그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떠합니까?
If you would like to look at or discuss other portions of the Bible that relate to this topic, consider the following brief sampling of passages(관련성구):
Proverbs(잠) 12:24, 12:27, 13:4, 13:11, 18:9, 21:5, 22:29, 27:18; Colossians(골) 3:23-24
'CBMC. 만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9차 안탈리아 유럽 CBMC 대회 (0) | 2012.04.29 |
---|---|
직원들을 위하여 이상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0) | 2012.04.23 |
당신은 무엇을 위하여 일을 합니까? (0) | 2012.04.09 |
하나님의 풍성한 은혜를 체험하기 (0) | 2012.04.02 |
두려움의 횡포를 극복하기 (0) | 201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