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설비 노후화로 2009년 이후 전력난 심각할 듯 -
- 2015년까지 전력산업 현대화 추진 중 -
□ 카자흐스탄, 1996년부터 발전소 민영화 등 전력산업 개편 추진
○ 카자흐스탄 전력산업은 제조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일반가정에 대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하는 중추기반산업임. 1996년부터 전력산업을 개편해왔기 때문에 현재는 구소련연방과는 독립적으로 에너지원을 확보해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 전력산업 중에서 발전부문은 1996~97년 사이에 민영화를 이미 추진했음. 송배전 산업은 국영기업인 KEGOC JSC가 대부분을 관리․운영하고 있음. 110 KW 이하의 송전망은 지역별 전기 송배전 회사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음.
- 전력산업 발전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 2003년부터는 전년과 비교해 34%가 증가한 637억 KW/hrs의 전력이 생산됨. 소비는 23%가 증가해 621억 KW/hrs를 기록함으로써 한 때 전기 수출국가의 입장에 놓이기도 했었음.
○ 2007년 송배전선, 발전소, 전력난 현황
- 카자흐스탄의 총전력선은 46만㎞이며 최초의 국제 전력선인 시베리아-카자흐스탄-우랄 전력선(1900㎞)이 설치돼 카자흐스탄 남북 연결을 추진하고 있음. 전력선 중에서 배전선 길이는 33만7600㎞로서 이 중 6~10㎸용 2만400㎞, 35㎸용 6만2000㎞, 110㎸용 4만4500㎞, 220㎸용 2만200㎞, 500㎸ 이상 6900㎞ 등임.
- 카자흐스탄의 발전소는 화력발전소 54개, 수력발전소 5개, 열복합발전소 11개와 계획 중인 원자력발전소 1개 등 총 71개의 발전소에서 총 17 GW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음. 화력발전소는 Ekibastuz, Maikuben, Turgai 및 Karaganda 지역에 있는 37개의 석탄 화력발전소가 대부분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음. 수력발전소는 이리티시강에 있는 Bukhtarma 및 Ust-Kamenogorsk 수력발전소, 일리강에 있는 Kapchagai 수력발전소 3개에서 이 나라 전력생산의 10% 정도를 충당하고 있음. 기타 Shevchenko로 알려진 Aktau 원자력발전소에서 전력생산 계획을 추진하고 있기도 함.
2007 카자흐스탄 전기 생산 비율
구분 |
비율 |
화력(석탄) |
70% |
수력 |
14.6% |
화력(가스) |
10.6% |
화력(오일) |
4.8% |
자료원 : 카자흐스탄 전기․조명 전시회 포럼 발표자료
2007 카자흐스탄 전기 소비 비율
구분 |
비율 |
제조업 |
68.7% |
가정 |
9.3% |
서비스업 |
8% |
수송산업 |
5.6% |
농업 |
1.2% |
기타 |
7.2% |
자료원 : 카자흐스탄 전기․조명 전시회 포럼 발표자료
- 2003년 이후부터 경제성장이 본격화되자 전력분야 인프라 미흡 및 설비 낙후로 인한 전력난 부족이 심각한 상황에 달함. 2004년부터 총전략생산량은 668억 KW/hrs인데 비해 총전력소비량은 648 억 KW/hrs에 달해 이전 전기 수출국의 입장에서 전력 부족국의 입장에 놓이게 됨.
- 특히 송배전망의 낙후가 심해 2만5000㎞당 전기 손실률이 21.5%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됨. 북부 소재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이 남부지역으로 송전될 때 송전망 낙후로 전기 손실이 극심한 상황임. 카자흐스탄 전력설비의 대부분은 구소련시절 설치된 것으로서 가스터빈 94%, 증기터빈 57%, 보일러플랜트 33% 등이 20년 이상 사용돼 교체가 불가피한 실정임.
-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0년 및 2015년에는 전력소비량 각각 780억 KW/hrs 및 910억 KW/hrs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이에 따라 최소 전기생산량이 각각 804억 KW/hrs 및 941억 KW/hrs 등은 돼야 한다는 결론에 따라 전력산업 현대화 시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임.
□ 카자흐스탄, 전력산업 민영화 추진현황
○ 카자흐스탄은 1996년부터 전력산업 민영화 정책을 시행함. 이로써 중앙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전력산업 시장이 외국기업에 개방됐고 경쟁적인 시장으로 평가 받고 있음. 전력 발전분야에 있어서는 1996~97년 기간에 90% 이상을 민영화함. 미국계 AES 사에게 총전력생산 20% 이상을 차지하는 이 나라 최대 발전소 AES Ekibastuz 화력발전소를 매각했고, 4개의 열복합발전소도 이 회사에 매각함은 물론, 2개의 수력발전소 30년 장기임대계약을 체결하기도 함.
○ 1997년에 설립된 국영 송배전회사인 KEGOC JSC는 카자흐스탄 송배전량의 60%를 차지하고 있고, 국가적인 송배전망 운영과 전력 생산 총괄 관리책임을 맡고 있음. 전력 도매시장은 지역별 21개의 송배전회사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데, 8개의 사기업, 4개의 지방정부 소유기업, 4개의 외국계 사기업, 5개의 발전회사 산하 자회사들로 구성됨.
○ 전기료는 국가차원에 관리하며 매분기 1회 이상의 전기료를 인상할 수 없도록 법률로 제한하고 있어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전기료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2007 전기료 현황
구분 |
가격 (USD Cent KW/h) |
카자흐스탄 |
4 |
유럽 |
11 |
한국 |
8.3 |
일본 |
21 |
자료원 : www.np.kz (카자흐스탄 경제일간지)
□ 카자흐스탄 정부, 전력산업 현대화 프로젝트 추진계획 발표
○ 현재와 같은 카자흐스탄 경제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2009년부터 전력난이 심각한 수준에 달할 것으로 보임. 카자흐스탄 정부에서도 기존 발전소 개선, 발전소 추가 설립 및 송배전망 개선․확충 등 전력산업 현대화 작업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발표함.
- 현재까지 발표된 정부의 전력산업 현대화 프로젝트에는 2015년까지 105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임. 주요 프로젝트로는 Ekibastuz GRES-1 및 Aksu GRES 시설 현대화, Zhambyl GRES 전력생산능력 확충, Karaganda GRES-1 건설 및 열복합발전소의 터빈 보강 등임.
○ 2007년 9월 28일에는 카자흐스탄 국영지주회사인 삼룩이 20억 달러를 들여 2015년까지 1300MW 용량의 화력발전소를 증설하는 등 카자흐스탄 정부가 총 40억 달러를 발전소 증설 등 전력산업 현대화 프로젝트에 투입함으로써 2015년경에는 현재의 전력생산량보다 무려 2/3 이상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함.
□ 시사점
○ 우리나라 기업들이 카자흐스탄 전력산업 현대화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 가장 유의해야 할 사항은 카자흐스탄 정부에서 지금까지 관련 프로젝트를 BOT 방식으로 추진해왔기 때문에 외국투자기업이 수익채산성 확보가 어려워 현실화가 되지 못했다는 점임.
- 이러한 BOT 방식은 외국투자기업들이 프로젝트의 기획·투자·자금확보·운영 등을 일괄적으로 수행하고, 수익금은 투자비용 및 확보이윤을 검토해 카자흐스탄 정부측과 배분하는 형태였음.
○ 카자흐스탄 정부에서도 외국투자기업들이 BOT 방식으로는 외국투자기업들이 수익모델 찾기가 어려워 해당 프로젝트가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정부예산을 통한 사업비 지원, 투자자금 정부보증 등 현실적인 프로젝트 추진방안을 강구하고 있음.
○ 따라서 카자흐스탄 전력산업 현대화 프로젝트에 참여코자 하는 국내 기업들은 카자흐스탄 정부가 추진하는 전력산업 프로젝트의 허와 실, 그리고 인허가 취득 가능성 등을 엄밀하게 진단한 후 프로젝트 입찰 참여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임.
정보원 : www.powerexpo.kz(카자흐스탄 전기․조명 전시회), www.np.kz(카자흐스탄 경제일간지), www.zakon.kz(카자흐스탄 언론포럼) 등 관련정보 무역관 정보 종합 및 분석
'지식창고,뉴스 > 월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명 디자이너 브랜드 라이선스 성공사례 (0) | 2007.11.03 |
---|---|
캐나다, 연방소비세·법인소득세 등 주요 세금 인하전망 (0) | 2007.11.03 |
카자흐스탄, 신용경색 조짐과 건설경기 전망 (0) | 2007.11.02 |
급격히 확대되는 러시아와 중국의 경제교류 (0) | 2007.11.02 |
독일 완성차기업, 한-EU FTA가 두렵다. (0) | 2007.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