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916 전남도 등 호남권, AI 융합 지능형 농업생태계 구축한다 발행일 : 2024.04.21 13:17 전라남도는 22일 호남권 3개 광역 지자체가 공동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공지능(AI) 융합 지능형 농업 생태계 구축' 공모사업에 선정돼 총사업비 426억원(국비 284억·지방비 142억)을 확보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사업은 AI 기술을 산업 전반에 적용해 수도권과 지역 간 인공지능 격차 해소를 통해 지역경제 재도약을 견인하기 위해 초광역 협업으로 추진된다. 도는 2028년까지 5년간 광주시, 전북도,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전남도농업기술원, 전남테크노파크 등 9개 기관과 함께 지능형 농업 실증 및 고도화, 지능형 농업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농기계 스마트화(원격자율작업), 최적 생육 및 환경 관리(노지정밀농업), 지능형 농업 데이터 수집 및 제어(관제.. 2024. 4. 22. [지금 일본은]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 실천하는 ‘일본형 직불금’ 입력 2024.04.21 18:00 일본에서는 농업과 농촌이 가지는 다면(多面)적 기능(공익적 기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마을에서 이뤄지고 있는 공동활동에 ‘다면적기능지불’이라는 이름의 직불금을 지급하고 있다. ‘농업과 농촌은 국토의 보전, 수자원의 함양, 자연환경의 보전, 경관 형성 등 다면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이익은 국민이 널리 향유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농촌지역의 과소화와 고령화의 진행으로 마을(집락)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지역에서 공동활동을 통해 유지돼 오던 다면적 기능의 발휘에 지장이 생기고 있다(농림수산성, 2024년도 다면적기능지불교부금 개요)’고 판단한 것이다. 올해 다면적기능지불 예산은 486억엔이다. 다면적기능지불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농지유지지불은 지역자원인 농용지.. 2024. 4. 22. 저탄소 농업 확산을 위한 탄소중립 프로그램 참여 농업인 선정 완료 2024.04.21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4. 21.(일) 11:00 4. 22.(월) 조간 배포 2023. 4. 19.(금) 16:00 저탄소 농업 확산을 위한 탄소중립 프로그램 참여 농업인 선정 완료 - 저탄소 영농활동 이행 시 직불금을 지급하는 탄소중립 프로그램 시범 사업 참여 농업인 4,413명 선정 완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2024년부터 신규 도입되는 탄소중립 프로그램 참여 농업인 4,413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프로그램은 논물관리 등 저탄소 영농활동을 실천한 농업인에 직불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중간 물떼기와 얕게 걸러 대기를 모두 시행한 농업인은 농지 1ha당 31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올해는 시범사업 단계로 저탄소 영농활동 확.. 2024. 4. 22.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19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