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айка

youtube.com/@maikabg

코리아 !

업무지구·뉴타운·도심공원 통개발…용산을 아시아 경제허브로

KBEP 2022. 4. 5. 07:34

용산 도심 어떻게 개발할까

낙후도심 상징인 정비창
16개 고층빌딩 마천루로
미군기지 자리엔 용산공원
뉴타운 규제풀어 주택공급

서울 한복판 장점 못살리고
각종 규제로 10년 이상 방치

정부·서울시·정치권 조율할
정책 컨트롤타워 만들어야

  • 유준호 기자
  • 입력 : 2022.04.04 17:36:36
  •  

◆ 新용산시대 개발 (上) ◆

전망대를 갖춘 높이 620m, 111층의 초고층 업무시설과 62층 규모의 6성급 호텔,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와 레지던스 빌딩 등 50층 이상의 건물 16개가 빼곡히 들어서는 세계적인 국제업무단지는 서울의 새로운 마천루가 된다. 15분 거리에 조성되는 여의도 면적 규모의 공원은 복잡한 서울의 숨통을 틔워줄 '도심의 허파'다. 경제 발전의 상징으로 시민들의 발을 자처해온 녹슨 철로는 지하 공간으로 옮겨가고, 동서로 양분됐던 지역은 드디어 하나가 된다. 한남동과 이촌동 일대 노후 주택은 초고층 신축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한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 계획으로 '용산 시대' 개막이 눈앞에 다가온 가운데 용산 개발을 새 정부 도심 개발 및 경쟁력 강화의 새로운 전기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용산은 현재 용산공원뿐만 아니라 용산정비창(국제업무지구), 한남뉴타운 재개발 등 대규모 개발과 경부선·경원선 철도 지하화 등 지역 인프라스트럭처 조성에 대한 밑그림이 나와 있다. 알려진 계획만 제대로 실천돼도 단군 이래 '최대 도심 개발 사업'이라고 불리는 데 손색이 없을 정도다.

4일 매일경제가 국내 도시 개발 전문가에 문의한 결과 용산 집무실 이전을 두고 새로운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내놨다. 정치적으로 좋고 나쁨을 떠나 우리나라도 수도 서울 도심 개발이라는 새로운 신화가 만들어질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지적이다. 특히 서울 한복판에 위치한 용산은 역사와 문화, 자연과 생태, 정치와 행정에 이르기까지 도시 계획에 담아낼 소재가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명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건축가인 유현준 홍익대 건축학과 교수는 용산 집무실 이전을 도심 개발의 기폭제가 될 수 있는 '신의 한 수'라고 표현했다. 그는 워싱턴DC를 사례로 들었다. 유 교수는 "우리가 백악관을 보면 앞에 워싱턴 내셔널몰 같은 기념관들이 딱 있고 거기에서 백악관이 약간 언덕에 올라가게 돼 있다"며 "용산 집무실 역시 그런 구조가 나올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불과 1㎞ 떨어진 용산정비창 용지에 조성되는 용산국제업무지구와의 균형은 필수적이다. 도시 전문가들은 용산공원이 '도심 공원' 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지난해 정치권에서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주택 공급난을 타개하기 위해 용산공원에 8만가구의 공공(임대)주택을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 적이 있다. 전문가들은 도심을 고밀 개발하는 데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서울의 각종 도시설계 용역을 20년 이상 담당했던 김현호 디에이건축 대표는 "용산 미군기지가 서울 핵심 지역의 개발을 장기적으로 막아온 측면이 있지만 만약 미군기지가 없었다면 그 일대는 지금 모두 아파트촌으로 바뀌었을 것"이라며 "세계적으로 자연 공원은 많지만 도심 공원은 찾아보기 힘들고 서울이 특히 더 그렇다"고 지적했다.

특히 도심 공원으로 조성되는 용산공원이 국제업무지구 고밀 개발의 압박을 흡수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김 대표는 "도시 경쟁력이라는 게 결국 좋은 기업이 들어오는 것인데, 최근 기업들의 관심사가 교통과 인프라에서 주변에 어떤 매력적인 장소가 있느냐, 자연을 그 자체로 접할 수 있는 환경이냐로 옮겨가고 있는 것도 주목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만 산재해 있는 개발 계획을 한데 묶어 장기적인 국가 중심축을 그려내야 한다는 점은 과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은 서울시가 키를 잡고 있지만 중앙정부인 국토교통부의 입김 역시 크게 작용한다. 정부는 2020년 8·4대책에서 용산정비창 용지에 주택 1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지만, 서울시는 업무시설에 중점을 두고 있다. 용산공원 역시 사정은 비슷하다. 국토부와 국방부, 외교부 등 여러 부처가 연관돼 이해관계가 복잡하다는 평가다.

복잡한 이해관계를 조율하기 위해 국무총리 주재로 2019년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까지 만들었지만 범위가 용산공원에 국한돼 있다. 장기적으로 국가의 중심축이 될 용산 개발 계획을 모두 모아 마스터플랜을 만들어낼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희정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용산공원, 국제업무지구와 경부선 지하화 등 용산을 중심으로 여러 성장 잠재력이 산재돼 있는 상황"이라며 "구슬은 많지만 잘 꿰어야 보배가 될 수 있는데, 여러 잠재력을 하나로 모으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유준호 기자]

 

출처 : 매일경제

기사원문 :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2/04/302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