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Y OF HAVING ENOUGH – AND NOT NEEDING MORE
충분히 가진 – 그리고 더 필요함이 없는 즐거움
By: Robert D. Foster
A noted psychologist who specializes in coaching people to deal with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says that as his affluent clients' fortunes have declined, his practice has thrived. In fact, the psychologist declares he is busier than he's been in 30 years.
He says this is because wealthy people have never been more frightened: "They believe this recession is semi-permanent."
한 저명한 심리학자는 사람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처리해 나가도록 지도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고 있는데, 그의 풍족한 고객들의 재산이 줄어들면서 그의 사업은 번창하고 있다고 말한다. 사실 그 심리학자는 30년 지나는 동안 바쁘던 어느 때보다 더 바쁘다고 말한다. 그는 이것이 부유한 사람들이 더 심하게 놀란 적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하는데: “그들은 이 불황이 반 영구적이라고 믿고 있다.”
Many surveys have shown that money and the economy lead the list of stress factors for eight out of 10 people in the Western world ---and those who are the wealthiest are not exempt.
여러 연구조사에 따르면 돈과 경제가 서구 세계에서 10명 중 8명에게 여러 스트레스 요인이 되고 있는데 --- 가장 부유한 사람들도 예외가 아니다.
Author Richard Peterson tells about a client, "whose net worth was about $400 million and now it's about $200 million! You would think, by his behavior, that he is about to be put out on the streets in the junkyard of society. The man is upset because he can no longer afford his private jet. He is going through devastation because now he has to fly first-class (on commercial airlines instead)!"
작가인 리처드 피터슨은 한 고객에 대하여 이야기하여 주었는데, “그 사람의 순자산은 4억불이었는데 지금은 대략 2억불이다. 그의 행동으로 보면 그는 사회의 고물야적장 길에 나서려는 사람 같은 생각이 들 것이다. 그 사람은 더 이상 자가용 제트기를 탈 수 없어 화를 낸다. 이제 그는 일등석 (자가용대신에 상용여객기의)를 타야만 하기 때문에 참담함을 느끼고 있다.
Soothing the soul of the tragically rich. The prevailing motto of the 21st century marketplace seems to be: “Life, liberty and the pursuit of just a little bit more.”
비극적인 부자 영혼을 달래는 일. 21세기 시장에서 널리 통용되는 모토는 “인생, 자유 그리고 조금만 더” 인 것 같다.
Contrast that philosophy with the Biblically based mindset:"You are blessed when you are content with just who you are – no more, no less. That is the moment you find yourselves proud owners of everything that cannot be bought” (Matthew 5: 5, The Message).
그 철학을 성경에 기초를 둔 사고방식과 비교해 보라: “너의 너 된 것 – 더 이상도 아니고 더 이하도 아닌 – 에 만족할 때 복이 있다. 그것은 네가 돈을 주고 살 수 없는 모든 것의 자랑스러운 소유자임을 발견하는 순간이다” (마태복음 5:5, 메시지).
A wealthy business owner from Madison Avenue in New York City was walking along the shore of a seaside community while on vacation. The CEO noticed a fisherman sitting idly by his boat, his skin tanned and weathered by the sun, wind and spray of the sea. It appeared he was not in any hurry to do anything. Curious about the fisherman’s lack of activity, the vacationing entrepreneur asked:
뉴욕시 매디슨가에서 온 한 부자 사업가가 휴가 중에 해변가 동네를 따라 걷고 있었다. 그 CEO는 어부 한 사람이 자기 배 옆에 한가하게 앉아 있는 것을 보았는데, 그의 살결은 태양, 바람 그리고 바닷물에 그을리고 거칠어져 있었다. 그는 무엇이든 하려고 서두르고 있는 것 같지 않아 보였다. 그 어부가 활동을 하지 않는 것에 호기심이 생겨서 휴가를 보내던 사업가가 물었다:
"Why aren't you out there catching fish?"
"Because I've caught enough fish for today," he replied.
"Why don't you catch more fish than you need?" the businessman asked him.
"What would I do with them?"
"You would earn more money and buy a better boat; then you could go deeper into the ocean and catch bigger fish and purchase nylon nets to get more money. In no time you would have a fleet of boats and be rich like I am."
"The fisherman thought for a moment before asking: "Then what would I do?"
"You could sit down and enjoy life!"
“What do you think I'm doing now?” the wise, old veteran replied.
“왜 저기 나가서 물고기를 잡지 않나요?”
“오늘 필요한 물고기는 충분히 잡았으니까요,”라고 그는 대답하였다.
“왜 필요한 것보다 물고기를 더 많이 잡지 않나요?” 그 사업가 그에게 물었다.
“제가 그것을 무엇에 쓰게요?”
“돈을 더 많이 벌어서 더 좋은 배를 사게 되지요; 그리고 나서 큰 바다 더 깊은 곳으로 가서 더 큰 물고기를 잡을 수 있고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하여 나일론 그물을 살 수 있지요. 얼마 안 가서 당신은 많은 배를 갖게 되고 나처럼 부자가 될 것입니다.”
어부는 묻기 전에 잠시 생각을 하였다: “그리고 나서 나는 무엇을 하게 되나요?”
“앉아서 인생을 즐길 수 있지요!”
“내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그 현명하고 노련한 노인이 대답하였다.
Searching for more, more, and more. on fabled Madison Avenue and other major business centers around the world, the prevailing attitude seems to be: “More money – More things – More status!” It is a relentless, unending cycle that breeds greed and discontent – as well as ulcers and heart attacks.
더 많이, 더 많이, 그리고 더 많이 구하는 일. 전설적인 매디슨가와 기타 세계 주요 비즈니스 센터에서 일반적인 태도는 “더 많은 돈 – 더 많은 물건 – 더 많은 지위!” 인 것 같다. 그것은 탐욕과 불만 – 암과 심장마비 뿐만 아니라 – 을 낳는 무자비하고 끊임 없는 악순환이다.
Again we can compare that point of view with the perspective offered by the Apostle Paul when he wrote: "I have learned in whatever state I am, in this to be content" (Philippians 4:11).
다시 우리는 그와 같은 견해를 사도 바울이 다음과 같이 쓰면서 제시한 관점과 비교할 수 있다: “나는 어떤 처지에 있든지 자족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빌립보서 4:11).
Taken and adapted from The Challenge, written and published by Robert D. and Rick Foster. Permission to reproduce with proper credit is freely given and encouraged. For questions or comments, write: 29555 Goose Creek Rd, Sedalia, CO 80135, U.S.A., or fax (303) 647-2315.
CBMC INTERNATIONAL: Robert Milligan, President
1065 N. 115th Street, Suite 210 ▪ Omaha, Nebraska 68154 ▪ U.S.A.
TEL.: (402) 431-0002 ▪ FAX: (402) 431-1749 ▪ E-MAIL: mmanna@cbmcint.org
Please direct any requests or change of address to: www.cbmcint.org
Reflection/Discussion Questions
1. What has been your most prevailing emotion during the past months of national and global economic difficulty? Have you been like the individuals described by the psychologist that have admitted to never having been more frightened? Why or why not?
국가적인 그리고 세계적인 경제 난국을 당한 과거 몇 달 동안 당신이 받은 가장 강한 느낌은 무엇입니까? 당신은 심리학자가 설명한 바와 같이 더 놀란 적이 없었다고 말한 사람들과 같습니까? 그러하거나 그렇지 않은 이유는?
2. In what specific ways have you been affected directly by the economic downturn? What adjustments, if any, have you had to make?
경제하강에 의하여 어떤 구체적인 방식으로 직접 영향을 받았습니까? 어떤 조정을, 하였다면,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까?
3. In the story about the vacationing businessman and the fisherman by the seaside, which one can you relate to most easily? Explain your answer.
휴가를 보내는 사업가와 어부가 바닷가에서 가진 이야기에서 당신은 어느 쪽과 가장 쉽게 부합될 수 있습니까?
4. The two Bible verses cited in this Monday Manna use the same term – contentment. What does “contentment” mean to you – and it is something you have observed or experienced on any consistent basis? Is contentment a realistic goal for us in the ever-changing worth of the 21st century, and if so, what steps should we take to achieve it?
오늘 월요 만나에서 인용한 두 성경 구절은 같은 용어 – 만족 – 을 사용한다. “만족”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그리고 그것은 당신이 꾸준하게 보거나 경험한 어떤 것입니까? 만족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21세기의 가치 가운데 우리에게 현실적인 목표입니까? 그렇다면 우리는 그것을 성취하기 위하여 어떤 단계를 밟아야 합니까?
NOTE: If you have a Bible and would like to review some other passages that relate to this topic, consider the following verses:
¬¬¬¬¬¬¬¬¬¬¬¬¬¬¬¬¬¬¬Matthew 6:19-34, 13:44-46; Mark 10:17-31; Luke 12:13-21; 2 Corinthians 8:1-15, 9:6-15
'CBMC. 만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CBMC 주간뉴스 (7/27) (0) | 2009.07.27 |
---|---|
훌륭한 지도자는 훌륭한 경청자이다 (0) | 2009.07.27 |
유럽CBMC 주간뉴스 (7/20) (0) | 2009.07.20 |
유럽CBMC 주간뉴스 (7/13) (0) | 2009.07.13 |
윤리적 ‘긴급대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0) | 2009.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