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위협하는 중국 조선산업의 장점과 약점
- 중형선박 제조 강세…주요 부품 수입 의존-
□ 중국조선산업 성장세
○ 중국 최대의 조선회사 China State Shipbuilding Corp(CSSC)에 따르면, 중국 조선산업의 일부 기술은 이미 한국의 기술을 앞서나가고 있으며, 3년 내 중국제 완제품 선박이 세계시장의 3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
China State Shipbuilding Corp(CSSC) : 중국 조선산업시장의 60%를 차지하며 베이징·상하이·지우장·광저우에 30여 개의 조선소를 소유함. Guangzhou Shipyard International, Shanghai Waigaoqiao Shipbuilding, Jiangnan Shipyard의 지사를 보유함. |
□ 중국 조선산업의 특징
○ 장점 ‘고효율의 중형선박 제조’
- 대형선박 제조에는 아직 미숙하나 중형선박 제조는 단시간에 완성가능함.
- 이는 결과적으로 선박의 조선소 체류기간을 줄여 조선소의 효율을 높임.
- China State Shipbuilding Corp(CSSC)에 의하면 해당사는 3500TEU 화물선을 65일 내에 제조 가능하며 한국의 67일보다 이틀 빠르다고 함.
○ 약점 ‘주요 부품수입으로 생산비 증가’
- 중국은 한국, 일본에 비해 부품의 현지 조달률이 낮으며 엔진의 경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함. 엔진은 제조비용의 30%를 차지하는 고가의 부품으로 제조사의 이윤감소의 주요 원인이 됨.
- 이는 중국산 엔진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수입기업들이 외국엔진을 장착할 것을 주문하기 때문임. 예를 들면, 선박서비스회사 Orient Overseas Container Lines의 경우 중국의 Hudong조선소에서 Panamax화물선을 주문했을 때 BMW 엔진장착을 주문한 것으로 나타남.
- 또한 유럽연합의 선박서비스회사들은 아시아조선업의 성장에 위협을 느껴 EU국가에서 제조된 엔진을 선호하는 것 역시 원인이 되고 있음.(MTU Friedrichsafen, BMW 은 예외 상표)
□ 최근 동향
○ 생산력 증가
- 중국의 대형선박 제조역량은 증가하고 있어 현재까지 20척의 8530 TEU 대형화물선을 제조한 기록이 있음.
- 2007년 6월에는 1만 TEU 대형화물선의 건조가 시작됐음. (Nantong Cosco KHI Ship Engineering)
- 중국 조선업은 17만톤(적재규모)화물선 건조의 67%를 차지하고 있음.
- 자제비의 50%, 전체 제조비의 60%를 차지하는 디젤 엔진과 조타장치의 50%는 중국 내에서 조달이 가능함. 중국조선협회에 의하면 중국의 디젤엔진 제조능력은 2008년 안에 두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5년 전인 2002년에는 자제 및 부품의 약 20%가 중국 조선소에서 생산됐으나, 빠르게 성장하는 조선산업의 확장속도에 따라가지 못했음. 이에 중국의 대형 부품공장들은 국내공급 증가를 위해 생산량 증대에 전력하고 있음.(Hudong Heavy Machinery, Dalian Marine Diesel Works, Anqing Marine Diesel Engine 등)
○ 기술개발
- 중국 내 디젤 엔진의 60%를 생산하는 Hudong Machinery(China State Shipbuilding Corp(CSSC)의 자회사, 상하이 소재)사는 60, 70, 80, 90cm(엔진벨브 지름) 디젤 엔진을 자체 개발하고 특허를 받은 상태임.
○ 국제시장에서의 지위 상승
- 2007년 1~6월 기간 중 중국 조선소의 신규계약은 165% 증가했으며, 주문량의 92%는 외국에서 주문한 계약으로 나타남.
- China State Shipbuilding Corp(CSSC)은 2010년까지 판매액 900억 위앤, 순이익 90억 위앤의 판매고를 올릴 것을 전망하고 있음.
□ 시사점
○ 중국은 조선산업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시설 및 기술개발에 투자하고 있음. 또한 광동지역의 Long Xue의 자연적 이점을 고려해 대형 선박전용 대규모 조선소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이에 따라 한국의 우수한 조선기술을 활용한 관련 산업 전반의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한국 조선업은 중국 조선업과의 차별을 위한 엔진 등의 핵심기술개발에 더욱 치중해야 할 것임.
자료원 : South China Morning Post, 무역관 정리
'지식창고,뉴스 > 월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내 사업하기 좋은 도시는? (0) | 2007.10.27 |
---|---|
중국 전동자전거 수요 폭발적인 증가 (0) | 2007.10.27 |
비즈니스위크가 뽑은 향후 국제적 브랜드가 될만한 중국 브랜드 12선 (0) | 2007.10.27 |
앞으로 5년, 중국을 이끌 정치핵심인사 변동 (0) | 2007.10.27 |
[중국] 이런 프랜차이즈 사업이 뜬다 (0) | 2007.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