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돈 송금하기 쉬워졌네
- 서비스업체간 경쟁 치열, 외국인도 해외 송금 자유로와져 -
□ 러시아 송금 서비스 현황
○ 지난 90년대 후반 외환위기 이후 러시아에서는 일반인들이 금융기관을 통해 송금을 한다는 것은 거의 생각할 수 없는 일이었으며, 은행들조차 엄격한 기준 제시를 통해 극히 일부에게만 송금 서비스를 제공해 왔음.
- 특히, 러시아 모라토리엄 시 은행에 예금한 돈을 한푼도 찾지 못하게 된 러시아 인으로서는 은행에 예금을 한다든지, 은행을 통해 돈을 송금한다는 것은 큰 리스크를 안아야 된다는 생각이 일반적이었음.
- 러시아 중앙은행 자료에 따르면, 은행들을 제외한 현재 러시아에서 송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업체는 약 16개로 Western Union, Anelik, BLIZKO, Contact, Inter Express, Migom, MoneyGram, PrivatMoney, Travelex worldwide Money Ltd., UNIStream, Asia Express, Allur, Bistraya Pochta, Guta Sprint, Zolotaya Korona, LIDER 등임.
- 이 서비스업체를 통해 2006년도 해외에서 국내로, 국내에서 해외로 송금된 금액은 약 73억9000만억 달러로 추산되며, 이는 전년도 동기대비 61% 증가한 금액임.
2006년 러시아 국내외 송금표
자료원 : 러시아 중앙 은행
○시베리아의 경우, 금융의 사각지대로서 모스크바에서 흔히 이용할 수 있던 서비스들을 현지에서 이용하기란 시기상조였으며, 최근 2~3년 전에서야 은행 및 기타 서비스 기관들을 통한 송금 서비스 이용이 본격화됐음.
- 시베리아 지역은 송금에 대한 수요가 매년 증가 50%씩 증가추세에 있는데, 특히 외국인 근로자들이 CIS 국가로 송금하는 금액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 최근 들어서는 송금 서비스업체간 경쟁이 심해지고 있는데,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러시아 우체국과 "Western Union" 등 2개 업체만이 송금서비스를 제공했으나 현재는 서비스업체가 10개가 넘는 상황임.
□ 송금 서비스별 장단점
○ 러시아에서 가장 서비스 이용객 및 송금액이 많은 서비스 기관은 러시아 우체국과 은행들로 이들의 시장점유율은 각각 40%를 나타내고 있음.
- 러시아 우체국은 전국에 4만여개의 지점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며, 2005년도 업체간 경쟁이 심해질 무렵 송금수수료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고객들의 큰 호응을 받은 바 있음.
- 그러나 우체국을 통한 송금은 약 3일정도가 소요되고, 송금 대상국과 송금액에 따라 수수료가 1~8%까지 적용되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음.
○ 은행들의 경우, 송금수수료가 송금액의 1~2%에 불과하는 점이 큰 장점으로 지적됨.
- 은행중 국영은행인 "Sberbank"가 가장 큰 지점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계좌 개설없이도 송금이 가능해 많은 고객들이 이용하고 있음.
- 송금액이 클 경우 은행을 통한 송금이 유리하나 금액이 작을 경우에는 수수료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 예를 들어, 노보시비르스크 'Vnestorgbank'의 경우 송금액에 상관없이 건당 U$ 25(당일송금)를 정액으로 부과하고 있음.
○ 나머지 20%는 은행들과 연계한 송금서비스 업체들이 차지하고 있는데, 대부분 해외에서 러시아로 송금시 또는 관광객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음.
- 송금 전문업체들의 서비스는 신뢰성 및 간편한 송금방식, 신속한 송금, 확대되고 있는 지점망들이 장점으로 꼽히고 있음.
- "Western Union"이나 "MoneyGram"사등은 송금 도착에 걸리는 시간이 최소 15분으로 가장 신속한 송금서비스를 자랑하고 있으나, 수수료가 금액에 따라 4~18%로 매우 높다는 점이 단점임.
□ 우리업체 시사점
○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개인 비즈니스 종사자나 학생·일반인들의 경우, 러시아 은행을 통한 송금을 못미더워 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통해 신뢰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 따라서, 2만~3만 달러되는 금액을 어렵게 현금으로 소지해 출국하려 하거나 불법 송금루트를 통해 송금하려다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상황임.
- 특히, 외화 송금시 은행에서 돈의 출처를 증빙해야 된다는 등의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저렴하고 안전한 송금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외국인의 경우 약 2만~3만 달러정도에 한해 아무런 자금 출처없이 한국으로 송금이 가능하며, 특히, Vnestorgbank의 경우 은행에 계좌가 없어도 정액 송금수수료 25달러만 지불하면 송금이 24시간내 이뤄지고 있음.
- 단지, 송금시 여권소지는 필수이며, 거주증 사본을 보자는 경우도 있으니 이들 서류를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필요함.
○ 러시아와 사업을 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현지업체와 T/T 거래를 하는 것이 보통이나 만일 러시아 파트너가 은행 및 금융기관 사정으로 송금을 지연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상기 송금 전문업체서비스 등이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작업이 필요
- 러시아인의 경우 해외 송금액이 제한되어 있으나 1회 5000달러까지는 송금이 가능함.
- 외국인의 경우 송금액에 제한이 없어 현지에서 받은 물품 대금 등은 작은 금액으로 여러번 나눠서 송금하는 방법도 권할만함.
-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현지 은행시스템 등을 핑계로 대금 지급을 미루는 현지 파트너가 있을 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향후에는 L/C개설이나 은행보증 T/T 등을 통해 확실한 대금수금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
자료원 : 러시아 중앙은행, Expert지, 무역관 종합 등
'지식창고,뉴스 > 월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동러시아의 경제발전 전망 및 개발프로젝트(하바로브스크 지방 편) (0) | 2007.10.14 |
---|---|
중국의 대 카자흐스탄 교역·투자현황 (0) | 2007.10.14 |
이스라엘 신기술, 바이오연료 생산성 30배 높여 (0) | 2007.10.14 |
몬테네그로, 주요 국영기업 민영화 예정 (0) | 2007.10.14 |
EU, 중국산 섬유의류 쿼터 올해말 종료키로 (0) | 2007.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