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lgaria Love/유럽 한국

불가리아 시장 대박 기회! 한국 수출 유망품목 TOP 3는?

by KBEP 2025. 7. 9.

 

불가리아 시장 진출 기회! 한국의 수출 경쟁력(RCA)으로 찾은 유망품목 분석: 자동차 부품, 반도체, 체외진단기기

 

불가리아 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한국 기업들에게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현시비교우위지수(RCA)'를 활용한 심층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RCA는 한 국가가 특정 품목에서 세계 시장 대비 얼마나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그 값이 1보다 크면 해당 품목에서 비교우위가 있다고 해석합니다.

 

2020년 불가리아의 100대 수입 품목을 대상으로 한국의 RCA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33개 품목에서 한국이 세계 시장에서 수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한국 제품이 불가리아 시장에서 충분히 성공적인 진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33개 품목 중 8개 품목에서는 한국의 RCA가 불가리아의 해당 품목 1위 수입국보다도 더 높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한국 제품이 불가리아 현지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적극적인 시장 진출 전략 수립에 매우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해당 8개 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자직접회로 (HS 854231)
  • 자동차부품 (HS 870899)
  • 인쇄회로 (HS 853400)
  • 반도체 디바이스/발광다이오드 (HS 854140)
  • 3,000cc 이상 승용차 (HS 870324)
  • 1,000~1,500cc 승용차 (HS 870322)
  • 기타 전기기기 (HS 854370)
  • 체외진단기기 (HS 382200)

이 중에서도 특히 '자동차부품', '반도체 디바이스/발광다이오드', '체외진단기기'는 지난 5년간의 연평균 수입 증가율과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바이어 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불가리아 시장에서 가장 유망한 수출 품목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직접회로의 경우 한국의 RCA 2.69, 불가리아의 1위 수입국인 독일의 RCA 0.28에 비해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였습니다. 자동차 부품 또한 한국의 RCA 3.37, 독일의 1.16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 한국 제품의 시장 침투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RCA는 과거 수출입 데이터에 기반한 지표이므로 미래를 완벽하게 예측할 수는 없으며, 경제 위기나 무역 장벽, 바이어 성향 등 정성적인 요인들을 모두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RCA는 간단한 데이터로 수출 경쟁력을 계량화하여 비교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며, 특히 시장 정보가 부족한 신흥 시장 진출 시 초기 타당성 검토를 위한 중요한 참고 지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가리아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계시다면, 위에서 언급된 유망 품목들을 중심으로 심층적인 시장 조사를 진행하시고, 한국의 높은 수출 경쟁력을 바탕으로 현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전략을 수립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shorts/fwXLNyVsn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