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칠레·불가리아 해외 발전 사업 진출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동발전이 해외사업 포트폴리오 성장을 위해 본격적인 신규 해외사업 개발에 나선다. 지난해 11월 강기윤 사장 취임 이후 기존 사업의 안정적 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강 사장은 △창의와 도전정신 △하나된 남동발전 △글로벌 기업화라는 경영방침을 내세우며 해외사업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임직원들도 이에 발맞춰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한 도전에 나서고 있다.

현재 한국남동발전은 △파키스탄 굴푸르(Gulpur) 수력발전 사업(102㎿) △칠레 태양광 1단계 사업(48㎿)·2단계 사업(52㎿) △불가리아 태양광 사업(42㎿) 등 총 4개 352㎿ 규모의 해외 발전 사업을 운영 중이다. 국내 설비 규모에 비하면 작지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높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파키스탄 굴푸르 수력사업 852억원 매출
한국남동발전의 해외 발전 사업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 연속 250억원 이상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특히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연속 당기순이익률 30%를 달성하며 수익 중심 경영 전략의 성과를 입증했다. 지난해에는 매출 1320억원, 당기순이익 251억원, 당기순이익률 19%의 실적을 거뒀다.
대표 사업인 파키스탄 굴푸르 수력사업(102㎿)은 2020년 상업 운전을 시작한 이후 운영 내실화 전략으로 수익성을 높이고 있다. 파키스탄 전력 당국과의 협상으로 추가 매출을 확보했으며, 운영보험사 경쟁 입찰로 보험료 2억원을 절감했다. 또 세밀한 행정 처리로 16억원 규모의 원천세 환급도 받았다. 그 결과, 해당 사업은 지난해 설비 확장 없이 전년 대비 약 6%(52억원) 증가한 85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칠레 태양광 사업(100㎿)은 북부 사막지대와 중부 지역에 분산된 15개 소규모 자산으로 구성됐다. 이 사업은 스페이스X 위성 기반의 인터넷 운전 시스템 도입으로 기존 통신망의 품질 문제를 해결했다. 불가리아 태양광 사업(42㎿)은 2012년 준공 이후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하며 이미 투자금 회수가 완료됐다. 그러나 설비 노후화, 전력수급 불균형, 전력요금 변동성 확대 등으로 매출 감소가 우려됐다. 이에 한국남동발전은 적기에 고정가격 전력판매계약으로 리스크를 줄였다. 그 결과 2023년 169억원이던 매출이 지난해 202억원으로 20% 이상 증가했다.
◇3.3GW 신규 해외 파이프라인 확보
한국남동발전은 기존 사업 성과를 기반으로 해외사업 확장에 본격 돌입했다. 파키스탄·칠레 등 기존 거점에서의 후속사업 개발은 물론, 글로벌 선도 기업과의 협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미 △중동 신재생에너지 입찰사업 참여 △국내 실적을 바탕으로 한 해외 신규시장 진출 등 총 3.3GW 규모의 신규 해외사업 파이프라인을 확보한 상태다.
강기윤 한국남동발전 사장은 “해외사업 확대와 성공적인 운영은 한국남동발전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여는 열쇠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접근을 통해 한국남동발전이 글로벌 에너지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출처 : 조선일보
기사원문 : https://www.chosun.com/special/special_section/2025/04/24/66VXUA2TQZEDTO5X4X263KVMHY/